조두남기념관과 노비산에 조성중인 문학관 등의 향방을 결정하기 위한 시민위원회는 첫 회의가 열린 20일 오전에야 마산시의 구성준비과정이 공개됐다. 위원들과의 교섭시기와 상관없이 이미 다 만들어 놓고 회의를 여는 날 언론사 공개를 한 것이다. 이는 위원회 구성에 대한 비난여론을 최소화시키는 시의 의도로 비친다. 이날 오전 시청에서 열린 브리핑과정에서 이 질문에 대해 시 관계자는 명확한 답변을 피했다. 비난여론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인정한 셈이다. 시가 우려한 비난여론의 초점은 ‘시민위원회로 기념관문제 해결의 책임을 떠넘긴다’는 지적으로 분석된다. 두 건물 모두 지난 1999년부터 장기간의 논쟁을 통해 당사자의 독재협력 자료가 공개되거나 시가 나서서 구성한 공동조사단에서 ‘친일혐의가 짙다’는 보고서를 내놓은 상황에서 “시가 결정하면 되지 또 무슨 위원회냐”는 비난을 시가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비록 마산시가 위원회 구성의 공개와 첫 회의의 간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비난여론을 줄이기는 했지만, 위원회 성격에 대한 의문은 이날 회의와 조두남기념관 공동조사단원의 입에서 당장 나왔다. 첫 회의에서 참석위원들은 “참석하긴 했지만 이 자리에서 무엇을 결정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거나 “정작 결정하더라도 제대로 집행될지 알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또 공동조사단의 한 사람도 “시가 만든 조사단이 공식 보고를 했으면 그 사실을 바탕으로 시장이 판단했어야 옳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6명의 시민위원 중 이날 회의에 참석한 14명은 정도의 차이를 떠나 위원회의 운영을 지지했다. 결국 이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는데 합의한 셈이다. 이 상황에서 현실적인 쟁점은 ‘무엇을 다룰 것인지’를 명확히 하는 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역사적 사실 자체를 다시 진단하는 식으로 두 건물의 운영방향 논의를 원점으로 돌릴지, 역사적 사실을 전제한 상황에서 두 건물의 명칭과 용도변경만을 논의할지가 핵심적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위원장이 자신의 재량권을 내세워 비공개 회의진행 원칙을 천명한 상황에서 시민을 상대로 한 명확한 논점의 제시와 회의진행 상황의 브리핑은 더욱 절실한 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