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 유치환 시인 등 친일 행적 논란이 있는 문인과 관련한 지방자치단체의 각종 문화사업이 앞으로 주춤하게 됐다. <10월 4·28일자 5면, 11월 10일자 4면, 12월 2일자 5면 보도>
문화관광부가 친일진상규명법의 국회 통과 이후 정부 차원에서 진상조사가 있을 때까지 친일 논란 문인 대상 지역 문학관 행사 지원을 보류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는 문광부가 친일행적 논란이 있음에도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각종 문화사업에 지원해 왔던 데서 입장을 바꿔 ‘선 진상 규명, 후 기념 사업’ 방침을 분명히 한 것이다.
친일청산 시민행동연대(준비위원장 김영만)가 지난 29일 공개한 문광부 공문 ‘청마문학관 개최 문학 행사 관련 민원 회신’에 따르면 “친일진상규명법이 국회에서 통과돼 향후 정부 차원의 공식 진상 조사와 규명이 있을 예정이므로 이 조사가 마무리될 때까지 친일 행적 논란이 있는 문인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문학관 행사는 지원 보류 방침을 통보(순수 문학 행사는 예외)”했다.
또 “통영시와 통영문인협회가 추진한 청마추념 편지쓰기대회는 청마를 추념하는 내용의 편지가 다수 수상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청마 추념 행사의 성격으로 판단될 소지를 남기는 등 국고 보조금(400만원) 교부에 따른 시정 요구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며 ‘주의 조치’를 하겠다고 덧붙였다.
지원금의 환수 여부에 대해 문광부는 “특정인을 위한 추념 행사가 되지 않도록 유념하라는 시정 요구를 통영시와 통영문협이 적극 이행했다고 보기 어려운 점은 인정”되지만 △행사 개최일(10월 2일)에 임박했던 점 등을 들어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영만 친일청산시민연대 준비위원장은 “문광부가 이번을 계기로 친일 논란 문인에 대한 자치단체의 지원에 더욱 신중해질 것으로 보인다”며 “국고 환수는 안됐지만 문화부가 깊이 고민한 흔적이 역력한 만큼 결정을 존중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통영시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계속 문제 제기를 할 것”이라며 변화된 입장을 내놓을지 두고 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