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유치환의 친일자료 > 역사바로세우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역사바로세우기

  1. Home >
  2. 옛집가기 >
  3. 역사바로세우기

[참고자료] 유치환의 친일자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겨레 댓글 0건 조회 1,603회 작성일 07-11-06 15:12

본문

[참고자료] 유치환의 친일자료
글쓴이:한겨레2007-11-06 15:12:43
유치환의 친일 행적들




친일진상규명법 개정안 통과 여부를 두고 정치권이 논란을 하고 있는 와중에 남쪽의 항구 도시 통영에서는 시인 청마 유치환의 친일 여부를 둘러싸고 논쟁이 뜨겁다. 유치환과 인연이 깊은 통영의 한 우체국을 청마우체국이라 이름 붙여 선양하려는 시도에 대해, 통영시의 일부 시민단체들이 친일 의혹이 있는 시인을 기리는 사업을 중지하라고 요구하자, 시인의 유족들이 이들을 명예 훼손으로 고발하는 사태에 이르렀다. 협력과 저항의 일제 말 문학을 연구한 학자로서 필자는 일제 말기 유치환 문학의 진상을 밝힘으로써 이러한 소모적이고 감정적인 논란이 더 이상 지속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글을 쓴다.
유치환의 친일 문학에 대한 논란은 주로 〈수〉라는 작품에 한정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유치환을 친일이라고 주장하는 쪽에서는 이 작품에 등장하는 ‘만주국’ 정부에 의해 목이 잘린 ‘비적’이 북만주 지역에서 항일운동을 하던 사람이라고 하고, 유치환이 친일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쪽에서는 이 ‘비적’은 단지 토비에 불과하기에 〈수〉에서 비적에 대한 비난은 당연한 일이라는 것이다. 〈수〉라는 작품에 등장하는 ‘비적’이 항일운동가인지 토비인지는 불확실하다. 따라서 이 작품을 갖고 친일 여부를 가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렇다면 유치환의 친일 여부는 가리기 힘든 근거 없는 일인가 그렇지 않다. 유치환의 친일 여부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작품 〈수〉가 아니라 〈전야〉와 〈북두성〉이다. 〈전야〉는 학병의 지원을 촉구한 작품으로 유치환의 친일 행적을 가장 잘 보여준다. “화려한 새날의 향연이 예언”되는 역사의 전야에 조선 출신의 학병들이 정복과 승리의 노래를 불러야 한다는 취지의 이 시는 당시 학병 특집으로 마련된 〈춘추〉 1943년 12월호에 발표되었다. 1943년 10월 20일 학도병 동원을 알리는 규정이 나오자 〈춘추〉는 11월호에는 학도병으로 참가하는 학생들 자신의 글을, 12월호에는 학도병 참여를 권유하는 글을 특집으로 마련했다. 바로 이 〈춘추〉 12월호에 유치환의 〈전야〉가 실린 것이다. 또한 일제 말 유치환과 함께 시작 활동을 했던 오장환이 해방 직후 〈민족주의라는 연막〉(〈문화일보〉 1947년 6월 4~6일)에서 청마를 두고 과거 학병 출정 장려시를 썼던 시인이 어떻게 민족주의를 운운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가 하고 비판했던 것도 이 시를 가리킨 것이다. 1944년 4월 〈조광〉에 실은 시 〈북두성〉은 〈전야〉의 연장선에 있는 작품이다. “아세아의 산맥 넘어서/ 동방의 새벽을 일으키다”로 끝나는 이 작품은 서구 근대를 극복한 대동아공영권의 수립을 축원하는 시이다.

유치환의 친일은 이런 문학 작품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의 행적에서도 이러한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김소운이 일본어로 편역한 〈조선시집(중기)〉(1943년)에는 유치환이 현재 북만의 한 마을에서 농장을 경영하면서 하얼빈 협화회에 근무하고 있다고 적혀 있다. 김소운은 유치환의 첫 시집 〈청마시초〉가 발간되는 데 큰 힘을 보탰던 문우였고 하얼빈에서 직접 유치환을 만난 적도 있는 사이이기 때문에 그가 해놓은 약력 소개는 신뢰할 만하다. 유치환의 북만에서의 활동 중 농장 경영은 잘 알려져 있지만 그가 하얼빈 협화회에서 근무하였다는 것은 그동안 알려져 있지 않았다. 물론 협화회에 근무하였다는 것 자체가 곧 바로 친일의 근거가 될 수는 없다. ‘만주국’의 협화회는 그 성격이 복합적이어서 일방적으로 친일단체라고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야〉와 〈북두성〉을 고려하면 협화회에 근무했다는 것은 친일행적의 한 정황 증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유치환이 친일을 하지 않았다는 근거 없는 이야기는 이제 사라져야 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친일이 그의 문학 전반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김재용 원광대 한국어문학부 교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후원계좌 :

열린사회 희망연대 / 경남은행 / 207-0065-6502-00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오동동14길 29 기산프라자 217호
Tel:055-247-2073, Fax:055-247-5532, E-mail:186@hanmail.net
그누보드5
Copyright © 희망연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