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운동 역사의 주인은 민중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희망연대 댓글 0건 조회 504회 작성일 20-05-21 10:07본문
민주화운동 역사의 주인은 민중입니다
김영만 (사)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 상임고문 (webmaster@idomin.com)
| 2020년 05월 18일 월요일
명칭은 각자의 역사관에 따른 것
다양한 해석·인식 규제할 수 없어
3·15의거기념사업회 김장희 회장님이 기고한 '제2차 마산의거라는 명칭을 고집하는 이유'라는 제하의 글을 읽으면서 문득 광주5·18이 머릿속에서 떠올랐습니다.(4월 6·10·16·24일, 5월 7·15일 자 8면 발언대)
올해가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잘 아시겠지만 광주 5·18의 국가 공인 명칭은 '5·18민주화운동'입니다. 1997년 제정된 국가기념일 명칭이 '5·18민주화운동'이며 그에 앞서 1995년, 국회에서 법률로 제정한 5·18법의 명칭도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입니다. 그야말로 법적으로 규정된 명칭입니다.
그런데 해마다 5·18 기념행사를 주최·주관하는 단체는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입니다. 이 위원회는 5·18민중항쟁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시민사회와 5월, 각계각층의 부문을 대표하는 단체 및 유관기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엔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을 비롯한 공공기관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5·18 관련 단체명은 더욱 다양합니다.
이처럼 정작 광주시민들은 자신들이 직접 겪은 5·18에 대한 각자의 기억과 입장, 역사관으로 5·18을 다양한 명칭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광주 시민들이 5·18 관련 단체를 만들고 각자 다양한 명칭을 쓴다고 해서 정부나 관, 또는 유관단체들이 나서서 따지거나 시비를 거는 일은 없습니다. 5·18을 반란이나 폭동, 사태라고 부르지 않는다면 말입니다.
'동학농민운동'도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국민이 교과서를 통해 배운 역사명이지만 이 역사 또한 '갑오' '전쟁' '반란'과 같은 단어가 들어간 수많은 명칭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역사 교과서에는 동학농민운동입니다. 그럼에도 많은 역사 연구자들과 관심 있는 사람들이 '운동'보다는 '혁명'이라는 용어를 줄기차게 써왔습니다. 드디어 지난 2019년 5월 11일, 이 역사가 국가기념일로 제정되면서 '동학농민혁명'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역사명이란 국가나 학술단체가 규정하고 법률이 정한 명칭이라 해도 그것을 강제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역사의 주인은 민중들이기 때문입니다. 그 시대를 살면서 그 역사에 참여한 민중들의 입장과 관점에서 역사가 이해되고 해석되기 때문입니다.
현재 우리가 살아오면서 보고 겪은 민주화운동의 역사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1980년 5월의 광주가 그렇듯, 1960년 마산에서 일어난 3·15와 4·11 역사의 주인은 마산시민입니다. 따라서 3·15의거기념사업회라고 해서 3·15 역사에 대한 민주시민들의 다양한 해석과 역사 인식에 대해 간섭하고 규제할 권한이 주어진 것은 아닙니다.
3·15의거기념사업회가 계속해서 우리가 쓰는 '4·11항쟁'이나 '4·19혁명의 첫날'이라는 역사해석에 대해서 의도적으로 곡해를 하고 나온다면 3·15의거기념사업회의 역사 독점주의나 패권주의라는 오해를 살 수도 있습니다.
이건 순전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저는 3·15와 4·11~13 전 과정에 학생 신분으로 참여했던 사람으로서 3·15를 '의거'라고 하기보다는 적어도 '민중항쟁'이나 아예 '혁명'으로 부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3·4월혁명의 공식적인 역사명이 '4·19민주혁명'입니다만 그 혁명의 반은 우리 마산시민들이 해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영만 (사)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 상임고문 (webmaster@idomin.com)
| 2020년 05월 18일 월요일
명칭은 각자의 역사관에 따른 것
다양한 해석·인식 규제할 수 없어
3·15의거기념사업회 김장희 회장님이 기고한 '제2차 마산의거라는 명칭을 고집하는 이유'라는 제하의 글을 읽으면서 문득 광주5·18이 머릿속에서 떠올랐습니다.(4월 6·10·16·24일, 5월 7·15일 자 8면 발언대)
올해가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잘 아시겠지만 광주 5·18의 국가 공인 명칭은 '5·18민주화운동'입니다. 1997년 제정된 국가기념일 명칭이 '5·18민주화운동'이며 그에 앞서 1995년, 국회에서 법률로 제정한 5·18법의 명칭도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입니다. 그야말로 법적으로 규정된 명칭입니다.
그런데 해마다 5·18 기념행사를 주최·주관하는 단체는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입니다. 이 위원회는 5·18민중항쟁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시민사회와 5월, 각계각층의 부문을 대표하는 단체 및 유관기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엔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을 비롯한 공공기관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5·18 관련 단체명은 더욱 다양합니다.
이처럼 정작 광주시민들은 자신들이 직접 겪은 5·18에 대한 각자의 기억과 입장, 역사관으로 5·18을 다양한 명칭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광주 시민들이 5·18 관련 단체를 만들고 각자 다양한 명칭을 쓴다고 해서 정부나 관, 또는 유관단체들이 나서서 따지거나 시비를 거는 일은 없습니다. 5·18을 반란이나 폭동, 사태라고 부르지 않는다면 말입니다.
'동학농민운동'도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국민이 교과서를 통해 배운 역사명이지만 이 역사 또한 '갑오' '전쟁' '반란'과 같은 단어가 들어간 수많은 명칭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역사 교과서에는 동학농민운동입니다. 그럼에도 많은 역사 연구자들과 관심 있는 사람들이 '운동'보다는 '혁명'이라는 용어를 줄기차게 써왔습니다. 드디어 지난 2019년 5월 11일, 이 역사가 국가기념일로 제정되면서 '동학농민혁명'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역사명이란 국가나 학술단체가 규정하고 법률이 정한 명칭이라 해도 그것을 강제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역사의 주인은 민중들이기 때문입니다. 그 시대를 살면서 그 역사에 참여한 민중들의 입장과 관점에서 역사가 이해되고 해석되기 때문입니다.
현재 우리가 살아오면서 보고 겪은 민주화운동의 역사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1980년 5월의 광주가 그렇듯, 1960년 마산에서 일어난 3·15와 4·11 역사의 주인은 마산시민입니다. 따라서 3·15의거기념사업회라고 해서 3·15 역사에 대한 민주시민들의 다양한 해석과 역사 인식에 대해 간섭하고 규제할 권한이 주어진 것은 아닙니다.
3·15의거기념사업회가 계속해서 우리가 쓰는 '4·11항쟁'이나 '4·19혁명의 첫날'이라는 역사해석에 대해서 의도적으로 곡해를 하고 나온다면 3·15의거기념사업회의 역사 독점주의나 패권주의라는 오해를 살 수도 있습니다.
이건 순전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저는 3·15와 4·11~13 전 과정에 학생 신분으로 참여했던 사람으로서 3·15를 '의거'라고 하기보다는 적어도 '민중항쟁'이나 아예 '혁명'으로 부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3·4월혁명의 공식적인 역사명이 '4·19민주혁명'입니다만 그 혁명의 반은 우리 마산시민들이 해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